Mira Kim

어느 날 모든 것이 사라졌다: 불확실한 (감각의)세계를 휘젓기, 2020

김미정(아르코미술관 큐레이터)

스마트폰을 꺼내 지도앱을 누르고 유명하다는 빵집을 찾아 유명하다는 빵을 샀다. 그러나 그것을 먹으며 SNS에서 보고 읽은 것과는 맛이 조금 다르다고 느꼈다. 문득 ‘느꼈다’는 판단의 기준이 정해져있음을 깨달았다. 사전에 접한 정보의 내용과 나의 경험 사이의 괴리를 자각하고 있음에도 이것이 옳은지를 검열하고 있던 것이다. 

글의 서두를 엉뚱하게 시작했지만 사실 이 깨달음은 새로울 것도, 놀라울 것도 없으며 그렇기에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이라고 말 할 수도 없다. 2020년을 맞이한 현대인이 디지털 디바이스와 디지털 이미지에서 얻은 정보로 세계를 살아간다는 건 자명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정보의 형태는 수용자에게 습득이 용이한 형태로 몸을 바꾸어 나간다.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그리고 동영상(무빙 이미지)으로의 변화처럼 말이다. 특히 최근 동영상으로 제작된 정보에 접속하는 횟수가 늘어나면서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들은 이제 블로그보다 브이로그(video log)를 검색창에 상위랭크하기 시작했다. 문자언어를 통해 상상할 수 있던 기회가 영상이미지로 발 빠르게 치환되면서 몇 개의 단어만으로도 내가 궁금했던 것들이 스크린에 띄워진다. 

변화된 경험과 그 지각에 대한 논의는 자연스레 벤야민(Walter Benjamin)을 떠올리게 한다. 벤야민은 판타스마고리아(Phantasmagoria)적 공간이 되어버린 (대)도시를 지각하는 방식이 달라짐과 동시에 충격기술과 대중매체의 발전으로 경험과 체험의 변경된 의미를 강조한다. 더불어 인간 지각을 역사적으로 조직되는 매체와 함께 변화되는 것으로 전제하며 근대의 산물인 ‘충격이미지’와 함께 오늘날까지 미디어의 형식과 매체를 바꾸어가면서 더욱 더 강화되고 있다. 매체에 따라 지각이 변화한다는 문장은 재생되는 정보를 마치 나의 경험처럼 체화시키는 작금의 상태에 적합한 분석이며, 더 나아가 작금의 경험은 카메라 혹은 스마트폰으로 기록하고,  SNS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누군가에게 공개해야만 비로소 진정성과 등가로 성립된다. 이것이 우리가 세계를 경험하는 과정이고, 이렇게 만들어진 정보의 양은 팽창한다. 데이터화된 이미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경험을 쌓는 게 가능한 세상이 되면서 많은 이들이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과 스크린을 통한 간접 경험을 부지런히 혼동한다. 그렇게 스크린의 안과 밖은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런데 김미라 작가는 영상 매체를 사용하면서도 스크린을 통해 감각을 습득하는 이 ‘당연한’ 변화와 그 확신에 섣불리 다가가기를 망설이는 듯 보인다. 여러 국가와 지역의 다층적인 문화와 장소를 경험한 작가의 정체성과 기억은 혼종적일 것이다. 한국에서 뉴욕 풍경의 조각을 발견하고, 뉴욕에서 일본의 흔적을 떠올리며 ‘~같다’라는 말을 자주 사용할지도 모른다. 사실 초연결시대의 영상매체가 적극적으로 영상 이미지를 통한 감각의 실재에 관여하거나 대신하고, 정보의 팽창과 감각의 둔화가 비례하면서 ‘~같다’는 특별한 고려 없이 사용되는 상용구가 되었다. 

이에 김미라는 변화된 ‘감각(sense)’에 대한 탐구와 질문, 실험을 담은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때문에 이 글은 감각을 다루는 작가의 두 작품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The Sense And Its Double>(2018)은 ‘나는 감각을 통해 세계와 소통한다’는 내레이션으로 시작되는 작품이다. 간척사업으로 인해 사라진 바다, 즉 갯벌을 걸으며 작가는 상실된 바다를 떠올렸다. 여기서 갯벌은 안개로, 통통 튀어 오르는 지점토의 형상은 태양으로, 모래의 결은 파도로 변환된다. 이들은 단일 사물이 아닌 무언가를 상기시키는, 즉 ‘~같은’ 이미지로 은유된다. 재생되는 대상의 상관관계를 결부시키는 것은 대상의 사회적 기호가 아닌 이미지 자체의 시각적 연계성이거나 혹은 그 대상을 감각했던 기억의 서사이다. 그래서 <The Sense And Its Double>는 마치 무의식의 세계를 구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여기에 지점토로 만들어진 정육면체는 이 세계의 주체를 대변한다. 디지털 콜라주의 레이어 아래 변형되어 새로운 신체를 일시적으로 가졌다가 지워지고, 손으로 짓이겨져 끈적한 소리를 내는 지점토와 스크린을 향해 인사하는 인물의 레이어가 겹치는 장면은 영상의 화자(아마 작가일 것이라 추측한다)가 현실과 꿈(가상)의 관계와 통제받지 않는 몸의 존재를 이야기하는 부분과 연결된다. 투명해진 신체를 즐기며 여러 옷을 갈아 끼우지만, “세계가 사라진 것일까, 내가 사라진 것일까”, “그런데 과연 내가 존재하긴 했던 것일까”라는 회의적인 문장들은 모든 것이 가능해진 것처럼 정의되는 세계 안에서 신체에 지각되는 한계와 의심, 혼란을 드러낸다. 

이러한 의심과 함께 분절된 컷들의 등장은 <When you fold my fingers>(2019)에도 이어진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종이를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그러나 종이의 역사나 역할을 분석하기보다 종이라는 매체의 물성을 실험하는데 더 가깝다. 영상은 “이것은 중요하다/아주 중요하다”라는, 결국 같은 뜻을 가진 몇 개의 문장이 그 의미의 강조가 무색하게 깨끗이 지워지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어지는 장면에는 앞서 <The Sense And Its Double>처럼, 어떤 사물의 특성을 떠올리게 하는 사운드와 그 사물을 은유하는 형태가 등장하는데, 종이로 만든 새와 잡지의 광고사진으로 만든 콜라주가 느릿느릿 움직이고, 포장지에 박힌 반짝이는 무늬가 물방울로 확장되기도 한다. 그런데 <The Sense And Its Double>과 다른 점이 있다면 디지털과 디지털이 아닌 이미지 사이를 흔드는 제스처가 작품 곳곳에 등장한다는 것이다. 손가락이 마우스를 클릭하듯 움직이면 몇 개의 레이어가 형성되지만 이들은 콜라주 되다 다시 파편화되며, 찢겨져 노출된 그 막 뒤에는 크로마키 천 혹은 스톱애니메이션을 촬영하기 위해 제작된 세트가 드러나 이 곳이 ‘만들어진’ 공간임을 인지하게 한다. 이는 포장지 위에 콜라주 되어 발랄하게 움직이는 사물들이 그저 인쇄된 포장지에 불과함을 밝히는 손이 등장해 종이새로 접어버리는 장면과도 연관된다. 영상을 구성하는 각 레이어들은 <The Sense Its Double>에서  지점토의 해체를 반복했던 것처럼, 우리가 소비하고 스스로가 그 안에 존재하고 있다고 믿는 영상 속 세계가 가상도, 실재도 아닌 어떤 불완전한 경계에 놓여 있음을 계속해서 확인시킨다. 

두 작품은 모두 미디어 이미지가 대신하는 가공된 감각의 불확실성을 피력한다. 주목할 지점은 작가 자신이 영상매체에 익숙한 창작자임을 드러내는 것을 거부하고 디지털과 실사 사이에 어설프게 기워진 간극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여기서 ‘어설프다’는 매끈하게 구현된 디지털 이미지의 그것이 아닌, 작가가 직접 제작한 오브제나 사진, 세트를 촬영한 장면이 영상 안에서 오히려 평면화되면서 발생하는 모호함을 일컫는다. 아날로그적 방식으로 제작된 거친 이미지가 도리어 위태롭게 느껴지는 지금, 작가는 이러한 일종의 형식 실험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한 초실감적 체험이 구현하는 기술이미지의 현전과 아날로그적 방식을 충돌시켜 무의식 내 존재하던 감각을 끌어낸다. 그래서 두 작품에서 느끼게 되는 혼란스러움은 그 이미지가 낯설어서가 아니라, 실사와 가상공간 사이에 중첩된 이미지-레이어의 유약함 때문일 것이다. 데이터화된 세계는 오감을 포함한 모든 것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듯 보이지만 손을 대는 대로 모양을 바꾸는 지점토의 물성처럼 이 곳과 저 곳의 인상과 기억을 빠르게 섞어버린다. 이는 다원성이 아닌, 마치 모래가 손에서 빠져나가듯 얼버무려지는 감각의 불투명함으로 번역된다. 작가는 이러한 지점을 인지하고 자신의 이미지-레이어들을 활용하여, 스크린 안팎에서 상실되거나 대체되었던 기억의 조각을 환기하는 초현실적이고 공감각적 공간을 빚어낸다. 그리고 우리를 둘러싼 세계 안에서 보이는 것이 명확할수록, 그 두께가 견고하지 않으며 도리어 섬약하게 구축되어 있음을 역설한다. 

이 글의 제목은 <The Sense And Its Double>에 등장하는 내레이션과 <When you fold my fingers>의 처음과 마지막에 등장하는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를 지워버리는 장면에서 차용한 것이다. 작품에서 ‘이것’은 무엇인지, 그 문장은 왜 지워져야 했는지를 쉬이 파악할 수는 없지만, 어쨌든 그 문장은 사라져버렸다. 그 주어의 정체를 알 수 없다면, 원하는 대로 어디든 접속할 수 있는 스크린 속에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혹은 볼 수 없는 건 무엇일지를 생각해봐야할 것이다. 그렇게 김미라의 작업은 미디어와 뗄 수 없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당신에게 스스로의 감각을 돌아보기를 권한다. 때문에 <The Sense And Its Double>의 마지막 내레이션으로 이 글을 맺고자 한다. “그런데 나는 존재하긴 했던 것인가?”

세상의 모든 감각에 대하여 _권혁규 (독립큐레이터), 2019

워드프로그램이 띄운 하얗고 네모난 화면 안, 앙상한 커서(cursor)만이 불안하게 깜박거리고있다. 채 13인치도 되지 않는 텅 빈 화면은 어쩐지 광활하고, 그 안에 글을 독촉하고 있는 커서는 충분히 부담스럽다. 무거운 커서를 한 칸씩 밀어내며 쓰여질 이 텍스트는 김미라의 영상작업<The Sense and Its Double>에 관한 것이다. 해당 작업은 세상과의 접촉을 다양한 방식으로 고찰하고 시각화 한다. 작품처럼 주변을 동시적으로 감지하며 시작한 이 글은 작품의 특성과 창작과정에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일종의 특권을 부여 받았다. 그리고 그. 특권은 글이 작품을 대변할거라는, 관련 사고를 통찰력있게 전달할거라는 오해를 만들기도한다. 

하지만 이 글에 김미라의 작업은 없다.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이 글은 작업을 대변하거나 설명하기 위함이 아니다. 결국에는 작업에 붙을 글이 시작부터 무기가될 만한 특권과 오해, 환상의 포기를 공표하는 이유는 그것이 김미라의 작업에 다가가는 가장 적합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언급했듯, 작가의 작업은 세계와의 접촉을 매개하는 감각을 고찰한다. 작가는 자신의 주변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감지되는 감각의 흐름을 수집하고 나름의 언어로 시각화 한다. 그렇게 시각화 된 세계의 감각은 고정된 해석이 아닌 감각 자체의 공유를 그리고 그것에 관한 사유의증폭을 고대한다. 다양한 감각을 수집 재조합하는 작업은 정해진 틀안에 관련사고를 포획하는 대신 다양한 응답을 촉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즉, 김미라가 다루는 감각은 작업에 없다. 작업이 궁극적으로 전달하려는 ‘세계’와 ‘감각’은 작업 바깥에 존재한다. 

<The Sense and Its Double>이 시작되는 곳은 갯벌이다. 작업은 광막한 갯벌을 배경으로 “나는 감각을 통해 세계와의 접촉을 시도한다”라고 말한다. 여기서 갯벌에 서 있는 ‘나’는 누구인가?  또 ‘감각’은, ‘세계’는 무엇인가?  작업은 불규칙적으로 형태를 바꾸는 비정형의 덩어리가 눈과 입같은 감각기관 위에 겹쳐지는 장면으로 이동한다. 영상 속 화자는 “빛, 중력, 근육의 움직임, 공기의 진동, 냄새 같은 것들은 모두 사라졌다”라고 선언해버린다. 그리고 바뀐 장면에선 뭉개진 점토가 형체를 바꾸다가 다시 화상채팅을 하고 있는 듯 한 남자의 얼굴과 신체 위로 포개진다. 영상 초반에 드러난 비정형의 덩어리, 그리고 그것과 중첩되는 인간의 감각기관과 온라인 환경 속 개인은 즉각적으로 ‘나’, ‘감각’ 그리고‘세계’의구분을 희미하게 만들며 그것들을 등치시킨다.   

영상 속 화자의 심드렁한 주장처럼 우리는 어쩌면 표본화되고 박제화 된 경험만으로 직조된 ‘나’도‘세계’도 없는 무감각의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영상이 시각화 한 디지털환경 속 인물, 모니터를 향해 미소 지으며 손을 흔드는 개인은 더 이상 모니터밖을 열망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들은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 거리로 나가지 않는다. 온라인망이 연결하는 세상에 살고 있는 개인은 세계를경험하기 위해 자신만의 섬에 로그인한다. 그렇게 컴퓨터에 로그인하고 스마트폰을 여는 순간 무한한 세상의 사건은 타임라인을 흐르며 질식할 듯 범람하는 세계를 동기화 한다. 이와 같은 온라인 환경안에서 개인의 경험과 감각은 김미라의작품 속 뭉개진 점토처럼 구체화 되지 않는, 획득 불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는 것은아닐까? 오늘 우리는 달리는 지하철 안에서 스마트폰으로 지구 반대편에서 열린수십년 전 공연을 보며 타인의 환호와 자신의 감정을 혼동한다. 또 지하철 밖 도시는 그곳이 어디든, 국가나 지역에 상관 없이 언제나 같은 모습으로 존재한다. 이 같은 맥락에서 작가의 작업은 외부세계가 작은섬 안으로, 내부로 자리를 옮겼음을 헤아리게한다. 여기서 세계가 내부로 자리를 옮겼다는 주장은 세계와 개인의 감각이 밀접하다고 말하는게 아니다. 세계 자체가 이미지로, 가상의 객체로 전환되어 납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은 점점 경험의 기회를 박탈당한다고 주장하는 것 이다. 어쩌면 우리는 작가의 작업 속 화상통화를 하고 있는 남자처럼 원하면 어느 세계든 다가갈 수 있다는 만족감에 흐뭇한 미소를 짓고 있을지도 모른다. 더 이상 다가가지 않아도 되는 현재가 제공하는 안락함은 가공된 감각이 남기는 약간의 아쉬움을 상쇄하기에 충분할지 모른다. 

온라인과 디지털 환경 속 개인의 경험과 감각을 전경화하며 다층적사고를 유도한작업은 중반에 다다르며 또 다른 질문을 던진다. “세계가사라졌을까? 혹은 내가사라진 것일까?” 그리고 이 질문은 다시 다양한 질문의 연쇄를 발동시킨다. 작업속 화자가 말하는 것처럼, 경험과 감각이 재정립되는 온라인 환경에서 개인은 더이상 실제 세계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외부-세계와 내부-개인의 거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감각과 경험의 선택권을 박탈당한 개인은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지 못하는 일종의 소비자, 피주권자로만 존재하는것인가? 만약 개인이 언제든 필요한 세계의 경험을 호출할 수 있다면,  또 그것을 재구성하고 복제할 수 있다면 그 경험이 비록 가공된 것일지라도 개인은 창조자로서의 절대적 권력을 지니는 것은 아닌가? 이러한 질문의 연쇄는 영상의 중반부, 점토로만든 큐브가 무한 증식하고 폭발, 분출하는 장면으로 연결된다. 마치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빅뱅을 가시화하는 듯한 장면은 “사라진것이 무엇이든, 나는 사실 이것이기적이라 생각했다”라고 말한다. 이어 방향도 깊이도 가늠할 수 없는 바다는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큐브안으로 가뿐히 옮겨지고 배경은 얄팍한 색으로 뒤덮인다. 그리고 그 위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포획한 물고기(이미지)들이 자유롭게 유영한다. 디지털과 아날로그, 그래픽으로 가공된 이미지와 그렇지 않은 것 모두를 낭자하게 뒤섞으며 시공의 개념을 노골적으로 무너뜨린 장면은 감각 자체를 무한히확장 가능한 대상으로 전환시키며 온라인-디지털환경의 또 다른 특징을 드러낸다. 그렇게 영상은 지속적으로 전유 재조합되며 무한 확장가능한 온라인 환경 안감각의 속성을 공유한다. 결국 작가가 제시한‘나’와‘세계’가 하나의 표본 안에 등치된 이후의 세상은 아이러니하게도 모든 것이 혼합, 편집, 복제되며 무한의 감각을 재획득하는 과정으로 가시화된다. 이처럼 작가는 작업의 출발지라 볼 수 있는감각과 세계에 대한 질문을 온라인과 디지털 환경 안에서 논의 하는 방식으로, 즉질문이기 인한 조건속에 해당 질문을 내던지는 방식으로 ‘나’와 ‘세계’가 사라진후 확장되는 감각의 모순에 대해 이야기 한다.

작가가 <The Sense and Its Double>에서 보여준 다양한 이미지의 혼합과 재구성은 외부 세계와의 접촉 뿐 아니라 본인의 과거 작업을 하나의 시공에 혼합, 정리하려는 시도로 보이기도 한다. 작가는 그동안 페인팅, 사진, 드로잉, 설치, 판화 등의 다양한 매체로 주변을 감지하고 기록하며 지역성과 정체성을 탐구해 왔다.  작가는 최근 작업에서 그동안 실험해 온 이미지의 다양한 권위와 기능을 하나의 매체-영상에 혼합하는데, 이는 비단 세계와의 접촉 뿐 아니라 작가의 과거 작업이 경유한 여러 지점들을 떠올리게 한다. 때문에 일련의 과거작업이 영상매체 안에서의 매시업과 리믹스를 방법론으로 이접된 것은 아닌지, 그동안 진행해온 지역성과 정체성에관한 고민이 세계와의 접촉이라는 보다 넓은 주제로 확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추론하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The Sense and Its Double> 역시 다른작업으로의 변환과 재구성, 혼합과 편재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설명했듯, 작가는 작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이미지와 감각을 전유하고 혼합해 왔다. 이는 단일 서사나 명징한 대상의 전달이 아닌 동시적 감각과 현상의 공유 그자체에 집중한다. 그래서 작업은 이미 만연한 감각과 이미지까지도 기꺼이 수렴한다. 그렇다면 작가가 작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전달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어떤이는 여기서, ‘저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라는 오래된 질문을 꺼낼지 모른다. 저자는 그 자체로 약속된 제도안에서 인위적으로 개별화 되고 사회화된 개념일지 모른다. 우리는 저자를 떠올릴때 작품 이전에 존재하는, 작품에대해 고민하고 창작하는, 작품 위에선 절대자를 떠올린다. 김미라는 이러한 저자의 개념에 동의하지않는 듯하다. 동시적으로 감지되는 또 감지되지 않는 파편적 세계에 관한 고찰을영상으로 전환하는 작가는 작품 위 군림하는 절대자가 아닌 감각의 수용자이자 매개자로서 스스로를 설정한다. 바르트가 저자성의 부고를 선언한지 약 60년이지난 오늘 저자는 여전히 존재한다. 김미라는 새로운 창작의 맥락안에서 끊임 없이 부활하고 소생하는, 스스로의 정체성을 전복하고 재정의하는 저자의 개념을이행한다.  

결국 작가는 세계의 감각을 좀 더 정확하게 공유하는 길은 스스로 외부를 인식하는 양식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일종의 경험주의적 방식이라고 말한다. 나아가 그러한 경험이 이미지로 귀결되는 로고스적 체계로 전달 가능한 것인지 자문한다. 주변을 감각하며 다양한 사고와 이미지의 혼합을 시뮬레이션 하는 작가의 작업은앞서 설명한 것처럼 다양한 형식으로 전유 재조합되며 확장 가능한 감각의 속성을 공유한다. 작가는 이 영원회귀의 방법론을 당분간 지속할것으로 보인다.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둔채 분주하게 세계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작업을 일단은 긍정해볼 수 있을것이다. 그것이 동일한 감각과 이미지를 반복하며 하나의 개념으로만 돌아오지 않는다면 말이다. 그렇게 작품의 마지막, 아득한 들판에선 ‘나’는 감각을 향한 꿈을 다시 시작한다.


About All Senses in the World

Hyeok-gyu Gwon

On the white rectangular screen, a thin cursor is blinking anxiously. The less-than-13-inch empty screen seems vast, and the cursor shouting for my writing is pretty burdening. This script I am going to write by pushing the heavy cursor one by one further is about Mira Kim's video art <The Sense and Its Double>. This work contemplates on a contact with the world in various ways and visualize it. This writing, which started off as I sense surroundings simultaneously just like her art, is privileged to talk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creation process of this work. This kind of privilege is often misunderstood that the writing is going to represent the work or it can convey the relevant thoughts with such deep insights.

However, there isn't Mira Kim's work in this writing. To be more exact, this is not for speaking for or explaining her work. The reason why I pronounce my statement on the privilege-a seemingly powerful weapon-, the misunderstanding about it, and my relinquishment for any fantasy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writing that is eventually going to be attached to the work is this i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approach her art. As I mentioned, Kim's works contemplate on the senses as the medium to the world. Kim collects the flows of senses detect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her surroundings and visualizes them into her own language. The visualized senses amplify the senses themselves, not stereotyped interpretation, and thoughts about them. The work to collect and reassemble multiple senses proceeds in the direction to provoke various replies instead of capturing relevant thoughts inside the box. In other words, the senses she worked on cannot be found in her art. The world and senses that this work ultimately tries to convey exist outside the work.

Where <The Sense and Its Double> begins is a mud flat. The work with a vast mud field in its background says, "I try to contact the world through senses." Who am I standing in the field? Also, what is a sense and what is the world? The scene moves to the next scene where an atypical mass which changes its figure irregularly overlaps sensory organs such as eyes

권혁규 (독립큐레이터)

and a mouth. The speaker in the video proclaims that lights, gravity, the movement of muscles, vibration of the air, and smell are all gone. Mashed clay, in the next scene, continued to change, and then it overlaps the body and face of a man who seemed to have a video chatting. An atypical mass in the beginning and human sensory organs and an individual in the online environment overlapped with the mass instantly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I, senses, and the world vague and make them equivalent.

Like the unemotional assertion of the speaker in the video, we may continue to live in the senseless status where thereis only typical, texidermized experiences, thus, there is no Ior the world. The individual in the digitalized envrionment that is visualized by a video, he who waves his hand smiling at the monitor may no longer desire the outside of the monitor. These people don't step outside on the street to experience the world. People living in the world connected by online networks log in their own islands for experiencing the world. As soon as they log in and open their smartphones, events of the infinite world activate the world suffocatingly overflowing on the time line. Just like mashed clay in Kim's work, isn't the experience and sense of an individual in online environment converted into an unspecified, unobtainable state? In today's world, we confuse our feelings with others' ones while we are looking at our phones on the subway, watching a video of a concert per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lobe decades ago. And regardless of nations or regions, a city outside the subway, wherever the city is, has the same looks at all times. In this context, Kim's work makes us consider that the outer world moved itself to the inner world, the inside a small island. The point here that the world moved to the inside doesn't argue that the world and an individual's senses get closer. It argues an individual is deprived of an opportunity for an experience more and more since the world itself comes to exist flat, being changed into an image and an imaginary object. Perhaps, we also can find ourselves smiling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we can approach anywhere we want, like this man on the online chatting in the video. It may be more than enough for a comfort we can find in the present where we don't have to approach something anymore to compensate the hint of regret the artificial senses leave.

Making an individual's experience and sense in the online and digitalized environment stood out on the screen and inducing a multi-layered thinking, the video raises another question as it reaches the middle phase: does the world disappear? Or do I disappear? This question breeds again a series of many other questions: as the speaker says in the video, does an individual no longer exist in the online environment where experiences and senses are reestablished?; in the status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side-the world- and the inside- an individual- hardly exists, does the individual deprived of his options for sensing and experiencing only exist as a kind of a consumer, or a passive counterpart unable to establish his own world?; if an individual can call for a necessary experience of the world at any time and reconstruct and reproduce it, isn't the person entitled to have absolute power as a creator even if the experience is manufactured? The series of these questions is connected to the scene in the middle where a clay cube is multiplied indefinitely, exploded and erupted. This scene that looks like it visualizes the Big Bang of the digital era in the 21st century says, "Whatever it is that has gone, I actually consider this a miracle." An ocean immeasurable in depth and direction in the next scene moves into the graphicalized cube with ease and the background becomes filled with a thin color. And the fish-images- that are caught by a computer program freely swim in it. Bluntly breaking down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by wildly blending the digital with the analogue, things manufactured by graphics and those not, the scene makes the sense itself an object that is expandable limitlessly and reveals another trait of the online, digital environment. In such ways, the video is continuously possessed, reassembled and shares the trait of senses inside the online environment that can indefinitely

expand. After all, the world Kim suggested made after I and the world were equalized in one model is ironically visualized through the process where everything is mixed, edited, and copied and re-obtain the infinite senses. Kim talks about the irony of senses that expands after I and the world disappear by discussing the question about sense and the world-the starting point of her work- inside the frame of the online and digit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by raising the question under the originating condition of the question.

The mixture and recomposition of various images shown in <The Sense and Its Double> looks as an attempt to mix and arrange not only the connection to the outer world but also Kim's previous works in one space and time. Kim has been exploring locality and identity by detecting and recording surroundings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paintings, photos, drawings, installation works and prints. Kim has recently mixed multiple powers and functions of images which she experimented with one medium-video- and this reminds me of Kim's previous works as well as the connection to the world. So, it makes me assume if her works in the past moved to a new methodology using mash-up and remix in visual media and if her thoughts on locality and identity are expanding to a broader theme of a contact to the world. In this context, <The Sense and Its Double> may also open a possibility to convert, reconstruct, mix and move to another piece of art.

As I explained earlier, Kim captured and compounded various images and senses throughout her work. This rather focuses on sharing of simultaneous senses and phenomena, not on conveying one narrative or a clear object. Therefore, the work willingly collects even prevalent senses and images. Then, what is the ultimate message that Kim tries to tell? some might bring up the old question here, which is what the role of an author truly is? An author is perhaps a concept that is artificially individualized and socialized inside the mutually- agreed system. When we think of an author, who comes to our minds is an absolute being standing above a pieceof work who was even present before the work and who contemplated on and created the work. Mira Kim doesn't seem to agree to this kind of concept about an author. Turning the contemplation on the segmented world that is simultaneously perceived or not perceived into a video, Kim sets herself as a recipient and mediator of senses, not as an absolute being of the work. The concept of an author still exists in today's world, about 60 years after Roland Barthes outspoke the orbit of authorship. Mira Kim performs her role as au author who endlessly resurrects in the context of new creation and overthrows her identity, then, redefines it.

In the end, Kim tells us that a way to share the world's senses more exactly is an experiential way that one lets oneself sensitively reacts to a form of perceiving the outer world. Furthermore, she raises a question to herself if such experience can be conveyed with the logos system where it results in an image. Kim's work detecting surroundings and simulating the blends of various thoughts and images, as I mentioned before, is captured and reassembled in various ways and shares the properties of sense which are expandable. Kim seems to continue this methodology of the limitless recurrence. We can acknowledge the work to tirelessly detect connections to the world with infinite possibilities if only this doesn't repeat identical senses and images and return as one concept. There, I, standing on a far field in the end of the video, begin again a journey of dreaming towards senses.

Using Format